
해외앨범 ⚡찰스 톨리버 Charles Tolliver [Live at the Captain's Cabin] Reel to Real/2024
- Johnk
- 조회 수 7
Charles Tolliver <Live at the Captain's Cabin> Reel to Real/2024
Charles Tolliver : Trumpet
John Hicks : Piano
Clint Houston Acoustic Bass
Cliff Barbaro : drums
CD 1
2 Earl's World
4 Compassion
CD 2
6 Repetition
재즈역사에 간과된 트럼페터의 걸출한 역량
1960년대 등장한 트럼페터중 아주 진취적인 음악성과 탁월한 연주력을 겸비한 실력파 뮤지션이 바로 찰스 톨리버다. 60년대 블루노트 레이블에서 발표된 피아니스트 앤드류 힐과 알토 색소폰 주자 잭키 맥린의 리더작들에 사이드 맨으로 참여하기도 했고 그외에도 매코이 타이너, 호러스 실버, 루이스 해이즈 같은 거물 연주자들의 세션에도 이름을 올린바 있는 그는 시원시원하고 파워 넘치는 블로잉으로 정평이 나 있으며, 음악적 범위 또한 하드 밥에서 포스트 밥, 프리재즈를 아우르며 시대의 흐름에 걸맞는 면모를 보여줬었다. 다만 70년대 이후 퓨전 시대에는 공감하지 못한 나머지 동료 피아니스트인 스탠리 코웰과 함께 스스로 레이블 Strata East 를 설립 자신이 지향하는 음악세계를 담아내려고 노력했고 또 비슷한 성향의 뮤지션들을 참여시켜 카탈로그를 쌓아온 바 있기도 하다. (최근 맥 애비뉴에서 스트라타 이스트 레이블 전 카탈로그를 인수해 재발매를 시작했다) 2006년 발표한 30년만의 현역 복귀작 <With Love>를 통해 연주와 음악 양면으로 건재함을 보여준바 있고 당시 그 작품의 성과에 주목해 본지에서 직접 인터뷰를 진행한 적도 있었다.
가진 역량에 비해 다소 명성을 얻지 못한 불운한 케이스라고 생각되는 대표적인 연주자중 한명인데 작년 말 그의 미공개 라이브 앨범이 공개되었다.
1973년 캐나다 앨버타주에 위치한 에드먼튼시의 클럽 캡틴스 캐빈에서 펼쳐진 공연으로 찰스 톨리버와 피아니스트 존 힉스, 베이시스트 클린트 휴스턴, 드러머 클리프 바바로의 쿼텟 라인업. 피아니스트 존 힉스를 제외한 나머지 멤버들은 그 클럽에서의 공연을 위해 처음 시도된 라인업인데 이날 이후 함께 연주를 하게 된다. 담겨진 6곡은 Black Vibrations 와 Repetition 을 제외한 전체가 찰스 톨리버의 오리지널로 그가 발표한 리더작들에 담겨진 트랙인데 라이브 답게 곡의 길이가 더 길어졌고 각 멤버들의 즉흥연주도 기본적으로 2~3 코러스는 더 길게 가져가고 있다.
첫곡 Black Vibration 에서부터 찰스 톨리버 특유의 강력한 파워 하드 밥이 거침없이 펼쳐지며 이런 기조는 마지막 Stretch 까지 계속 이어져간다. 시원시원한 테크닉, 하이 피치에서도 흔들림 없는 블로잉에 트레몰로와 피치카토 연주가 자유자재로 구사되며 이에 호응하는 멤버들의 연주력들도 탑 레벨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업템포의 텐션 높은 하드 밥/포스트 밥이 찰스 톨리버의 전매특허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방면으로는 우디 쇼나 프레디 허바드와 비교해도 결코 뒤지지 않는 연주력을 지닌 이가 바로 찰스 톨리버다. 본 라이브 앨범은 당시 그가 최상의 기량을 구가하던 시기인만큼 전체 연주가 뛰어나며 또 흔치않게 Truth 에서 톨리버의 슬로우 발라드 연주 또한 들을 수 있는데 이 또한 기대이상으로 준수하다는 걸 확인케 해준다. 악기 밸런스및 기타 녹음상의 퀄리티에 일부 아쉬운 점이 엿보이긴 하지만 릴투릴 레이블에서 발표한 이 당시 하드 밥 녹음들은 최소한 연주에 있어서만큼 재즈 팬들에게 큰 만족감을 줬다. 본 작 또한 그 점은 마찬가지다. 글/MMJAZZ 편집장 김희준
- 6.jpg (File Size: 342.0KB/Download: 0)
- Charles Tolliver - Clint Houston and Charles Tolliver, photographer unknown, courtesy of Marc Vasey.jpg (File Size: 1.05MB/Download: 0)